조정경기는 노를 저어 배의 속도를 겨루는 수상경기로, 보트레이스 또는 레가타라고도 한다. 다른 운동종목과 달리 결승점에 등을 돌리고 시작 하는 경기로 출발선부터 결승선까지의 주어진 거리를 규칙에 정해진 인원으로 노를 저어 먼저 도착하는 보트가 이긴다. 노를 저어 배를 빨리 나아가게 하는 경기는 아주 옛날부터 있었으나 레이스의 기원을 말해주는 자료는 현재 남아 있지 않다.
레가타라는 말은 14세기경에 베네치아(Venezia)에서 곤돌라의 레이스를 레가타라고 부른 데서 오늘날까지 전해졌다고 한다. 고대 이집트에서는 거대한 배도 노를 사용하였고, 고대 그리스·로마에서는 노를 주(主)로 하고 돛을 종(從)으로 한 대형 군함을 노예들이 노를 저었다고 기록에 남아 있다.
조정의 발상지는 영국으로 17세기 중엽 템스강을 중심으로 육상교통 수단보다 편리한 보트가 보급되었고, 1715년에는 최초의 조정경기인 프로페셔널스컬 경기가 열린 기록이 있으며, 영국의 이튼학교가 조정팀 창단의 효시가 되었다. 또한 대학스포츠라이벌전으로 명성 높은 옥스퍼드와 케임브리지의 최초레이스는 약 2만명 관중이 모인 가운데 1829년 처음 실시되었다.
영국에 기원을 둔 조정은 이후 프랑스, 러시아 그리고 독일을 거쳐 아메리카 대륙으로 서서히 전파되었고, 1892년 세계조정연맹(FISA)이 창설되었고, 1893년 이탈리아에서 제1회 유럽선수권대회가, 1962년부터는 세계조정선수권대회가 창설되었다.
한국에 보트가 처음 들어온 것은 1916년이다. 당시 중앙고등보통학교(지금의 중앙고등학교)에서 보트를 구입하여 한강에 띄워, 한국 최초의 조정부가 생겼으나 조정경기의 규칙을 제대로 익히지 못한 채 구경거리로 사람들의 이목에 오르내릴 정도였다. 정식 경기는 1925년 경성전기·철도국·체신국·경성제국대학(지금의 서울대학교)에서 보트를 도입하여 한강에서 개최한 것이 효시로 꼽힌다.
1940년부터 비록 소극적이나마 한강에서 경기가 제대로 펼쳐지다가 8·15광복을 맞았고, 6·25전쟁으로 한때 중단 되었다. 본격적으로 경기가 시작된 것은 1962년 10월 한강에서 개최되었던 전국학생조정경기였다. 같은 해 10월 31일 KRA(Korea Rowing Association: 대한조정협회)가 창립되었고, 1963년 2월 23일 KSC(Korea Sports Council: 대한체육회)에 가맹하였으며, 1965년 8월 FISA(Federation Internationale des Societes d’Aviron: 국제조정연맹)에 가입하였다.
조정경기는 제1회 아테네올림픽대회 때부터 정식종목이었으나 악천후로 개최되지 못하였고, 1900년 제2회 파리올림픽에서 남자 4개 종목이 정식 올림픽 종목으로 치루어졌고, 여자 경기는 1976년 제21회 몬트리올올림픽에서 처음 소개되었다.
1982년 제9회 뉴델리아시아경기대회에서 처음 정식종목으로 채택되었다.
아시아에서 조정은 세계적인 수준의 중국이 각종 대회에서 금메달을 독식하고 있으며, 일본과, 우즈베키스탄 등이 중위권을, 인도, 이란 그리고 대한민국이 세부종목별로 강한 면모를 보이고 있다.
경기순위는 각 세부종목별 참가선수를 기준으로 예선전, 패자부활전, 준결승전, 결승전을 실시하여 최종 결정한다.
예선전 대진추첨은 첫 경기가 열리는 날 하루 전 Team Meeting시 시드를 추첨하며, 해당종목이 결승전만 열리는 경우 레인 추첨도 이때 함께 실시한다. 예선전 다음 경기부터는 경기결과(순위)에 의해 임의 배정한다.
참가팀수가 7개 미만일 경우에는 추첨일에 예비시합의 레인 추첨을 실시하고, 예비시합의 결과에 따라 결승전 레인을 배정한다.
순위 결정은 Boat 앞머리에 흰색볼(Bow Ball)이 결승선을 통과하는 순서로 결정한다.
모든 경량급 선수 및 콕스는 매 해당 종목 경기 당일 첫 경기 시작 2시간 전 부터 1시간 전 사이에 계체한다.
성별,세부종목별 계체기준은 다음과 같다.
성별 | 세부종목 | 선수체급 | 평균 |
---|---|---|---|
여자 | 경량급 | 최대 59kg | 최대 57kg |
남자 | 경량급 | 최대 72.5kg | 최대 70kg |
여자 | 콕스 | 최대 50kg | - |
남자 | 콕스 | 최대 55kg | - |
※최소의 무게를 유지하기 위한, 콕스의 최대부하물(deadweight)은 10KG
유동 출발 시설 장치
노의 목 부분
유타 8인승(여자)
무타 4인승 스컬
유타 4인승(여자)